생산성,공사,관련법 썸네일형 리스트형 쇠뜨기 이름이 잘 안외워집니다 뱀같은 느낌이라 뱀풀로 검색해보니 뱀풀이라고도 하고, 쇠뜨기라고도 하네요. 소가 잘 뜯어먹는다고 쇠뜨기라는 이름이 붙었다네요. 저렇게 위로 올라온 것이 생식줄기라는데 신기하게 포자낭수라는 것이 달린다고 합니다. 일반적인 식물은 아니군요. 땅속 줄기로 번식하는게 대추나무 같기도 합니다. 비슷한 풀로는 오이풀이 있는데 오이풀은 자주색으로 구별이 됩니다. 더보기 현호색 이른 봄철 피어나는 현호색 현 : 뿌리가 검고 호 : 북방(오랭캐 호)에서 색 : 매듭모양으로 새싹이 돋는 식물이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왜 이렇게 이름을 어렵게 지었을까요? 현학적으로 느껴지긴 하나 중국에서 지어진 이름이라니 이해가 되네요. 아무튼 산속에서 발견하면 굉장히 신비한 색상과 모양에 은은한 자태까지 갖추니 신기하기 그지없습니다. 찾아보니 가장 비슷한게 날개 현호색이라는 것 같네요. 현호색도 종류가 엄청나게 다양합니다. 머리나쁜 사람은 외우기 어렵네요. ^^ 더보기 중앙분리대에 식재된 조팝나무 봄비가 내리는 와중에 싱그럽게 피어난 조팝나무 꽃 왠만한 곳에서 별문제없이 잘 자랍니다. 시골에서는 싸리꽃이라고도 부르기도 합니다. 아마 멀리서 보면 흰 쌀 같아서 그랬으려나요? 더보기 아파트 창가로 살구꽃이 다가왔다. 집이 2층이라서 나무가 힘차게 자라 창문 바로 앞에까지 가지를 뻗고 있네요. 꽃모양만 보면 왕벚나무랑 비슷한데 좀 느낌이 달라요. 일단 나무의 수피가 좀 완전히 다르고, 꽃이 생각보다 화려하지 않으며 잎들도 비슷하게 같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그때까지 못찾으면 왕벚나무로 하기로. ㅎㅎㅎ (아닐 확률이 높을 듯) → 열매가 달려봐야알겠지만 현재까진 살구꽃일 확률이 가장 높네요. 꽃받침의 모양과 꽃잎의 벌어짐 정도, 그리고 다소 매끈한 수피로 보아 그렇습니다. (이러다 열매 안달리면 낭패) 더보기 회양목 꽃 아이폰 15프로로 바꾼 여러 이유 중 하나가 접사카메라다. 일반 갤럭시 모델로는 초점거리가 너무 길었다. 아이폰 일반모델로는 그나마 약간 낫긴 하지만 도긴개긴. 나중에 안 사실로는 갤럭시 울트라 모델은 접사카메라가 있긴 하지만 너무 무거워서 어차피 선택지에서 제외됐을 거다. 다만, 아이폰 카메라의 3각 배열 때문에 일반카메라에서 접사카메라로 전환시 카메라 위치자체가 바뀌어서 초점잡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긴하지만 나름 최선을 다해 접사를 찍고있다. 본론으로 돌아와 회양목은 3월 꽤 이른 시기에 꽃을 피운다. 그런데 잎과 꽃의 색이 모두 녹색이어서 눈에 잘 들어오지 않는다. 자세히 보아야 보인다. 게다가 이 시기에는 회양목 명나병의 피해도 입는 특성이 있다. 생각보다 취약 더보기 자연휴양림 조성 면적 기준 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9조의 5(자연휴양림등의 타당성 평가) -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조성하는 경우 : 20만제곱미터 - 그 밖의 자가 조성하는 경우 : 13만제곱미터. -「섬 발전 촉진법」 제2조에 따른 섬지역의 경우 : 10만제곱미터로 한다. 과거와 달리 면적기준이 점점 완화되는 듯하다.... 더보기 땅에 노출된 뿌리를 덮어주고 싶나요? 간혹 등산을 가거나 조경수에서도 뿌리가 노출된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 위의 사진 처럼 말이죠. 땅위로 노출된 뿌리를 흙으로 덮어주고 싶나요? 성격급하신 분들을 위해 정답을 먼저 공개합니다. 안됩니다. 1. 뿌리는 호흡하는 기관입니다. 흔히 식물은 산소를 만들어낸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식물도 광합성을 할 때만 산소를 만들어냅니다. 식물도 기본적으로는 생물체이기 때문에 호흡을 합니다. 산소를 마시고 이산화탄소를 내뿜습니다. 저 뿌리는 호흡하는 역할을 합니다. 흙을 덮으면 일반적인 나무는 죽습니다. 마치 식물에 대해 잘 아는 것처럼 상식을 침소봉대하여 산림청을 공격하는 모 환경론자는 잘 알지도 못하면서 안타깝다고 합니다. 나무의 생육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제대로 압시다. 2. 이미 노출된 뿌리는 환경적.. 더보기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한 법률 - 경미한 변경 면적의 5%이내의 변경의 의미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한 법률 해설집 □ 경미한 변경사항 중 지구단위계획구역 면적의 5%이내의 변경 의미 ㅇ 영 제25조제4항10호상의 지구단위계획구역 면적의 5%이내의 변경이란 가감되는 구역면적의 절대값의 합을 의미하며, 가감되는 구역면적에서 발생하는 지구단위계획의 변경을 포함 https://www.kira.or.kr/bbs/download.do?fId=69129&dFlag=1 더보기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