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산성,공사,관련법

🚒 임도로 인해 산불이 확산된다는 주장, 과연 사실일까?🌲🔥

이미지출처 : 산림청

 

🚒 임도보가 바람길 역할을 한다? 베르누이 정리로 본 산불 확산 원리 🌪️🔥

산불 확산과 관련해 "임도가 바람길 역할을 한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계곡 지형이 더 강력한 바람길로 작용하며, 이로 인해 산불이 빠르게 번질 수 있습니다. 이는 베르누이 정리와 계곡의 특성이 결합되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 베르누이 정리와 계곡 지형의 관계

베르누이 정리에 따르면, 유체(공기)의 속도가 증가하면 압력이 감소합니다. 이는 좁은 공간을 통과할 때 유체의 속도가 빨라지는 벤투리 효과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계곡에서 바람이 빨라지는 이유

  • 계곡은 좁고 깊은 구조로 되어 있어 공기가 통과할 때 풍속이 급격히 증가합니다.
  • 이는 고층 빌딩 사이에서 강한 바람이 부는 "빌딩풍" 현상과 유사합니다.

🧪 실험 결과

  • 초속 6m 바람이 불 때, 30° 경사진 계곡에서는 불길 확산 속도가 평지 대비 26배 이상 증가(산림과학원 연구).
  • 2019년 고성·속초 산불 당시, 계곡에서 순간풍속 35.6m/s가 기록되며 90분 만에 7.7km 확산(KBS 뉴스).

🏞️ 계곡이 산불을 빠르게 확산시키는 이유

1️⃣ 열 축적 효과

  • 계곡에서는 뜨거운 공기가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고 갇히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 복사열 반사로 인해 낙엽과 나무가 빠르게 건조되며 화재 위험이 증가합니다.

2️⃣ 바람 가속화

  • 좁은 지형을 따라 바람이 강하게 불며, 산불 확산 속도를 더욱 증가시킵니다.
  • 건조한 나뭇가지, 낙엽 등이 많은 계곡에서는 불길이 순식간에 번질 가능성이 큽니다.

3️⃣ 지형적 복합 효과

  • 계곡의 경사면 + 강풍 + 건조한 환경이 결합하면, 산불 확산 속도는 평지 대비 최대 79배 증가할 수 있습니다.

🛤️ 임도 vs 계곡: 바람길 영향 비교

구분 임도 계곡

바람 세기 약함 (국소적 영향) 강함 (풍속 3~5배 증가)
확산 속도 제한적 (방화선 역할 가능성) 극대화 (분당 15m 이상 이동)
열 축적 효과 없음 심함 (복사열 반사로 인한 건조 가속)
대표 사례 2022년 울진 산불 2019년 고성·속초 산불 (90분 만에 7.7km 확산)

🔥 결론: 임도가 산불의 주원인이라기보단 계곡이 더 함

임도가 바람길 역할을 한다는 주장은 특정 사례에 국한되며, 실제로는 계곡이 더 큰 위험 요소입니다.

 

추가 자료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