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용후기

애플워치로 100층을 올랐는데 83층만? 이유가 뭘까? ⌚🏢

반응형

 

 

애플워치를 착용하고 아파트 계단을 100층 올랐는데, 기록을 확인해 보니 83층만 올라간 것으로 표시되었다면 어떠신가요? 🤔
이런 경험을 하신 분들이 종종 계신데요. 애플워치는 어떻게 층수를 측정하는지, 그리고 왜 이런 차이가 발생하는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애플워치는 어떻게 층수를 측정할까요? 🔎

애플워치는 기압계(Barometer) 를 이용해 층수를 계산합니다.
즉, 공기 중 기압 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얼마나 높은 곳으로 이동했는지를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 여기서 중요한 점!

  • 애플워치는 약 3m 상승할 때마다 1층으로 계산합니다.
  • 엘리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면 층수로 기록되지 않습니다. 반드시 걸어서 이동해야 기록됩니다.
  • 단순히 움직임만이 아니라, 기압 변화 + 걸음 데이터를 함께 분석하여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100층을 올랐는데 83층으로 표시되는 이유? 🤷‍♂️

1️⃣ 아파트 층고 차이 🏢

애플워치는 3m 상승 = 1층으로 계산하지만, 우리나라 아파트의 층고는 보통 2.3~2.5m 정도입니다.
그래서 실제로 100층을 올라가도 애플워치 기준으로는 83층 정도로 측정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층고가 2.4m라면?

  • 100층 × 2.4m = 240m 상승
  • 애플워치 계산법(3m=1층)대로 보면 240m ÷ 3m = 80층
  • 따라서 예상보다 적게 기록될 수 있습니다.

2️⃣ 기압 변화의 영향 🌡️

애플워치는 기압을 이용해 고도를 측정하는데, 실내 환경(에어컨, 난방, 환기) 등에 따라 기압이 변할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실제보다 높이 올라갔거나 덜 올라간 것으로 인식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3️⃣ 계단을 오르는 방식 🚶‍♂️

  • 계단을 빨리 올라가거나 손을 흔들지 않으면 애플워치가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 손잡이를 잡고 계단을 오르면 팔의 움직임이 적어 정확한 기록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 계단을 오를 때 팔을 자연스럽게 흔드는 것이 기록에 도움이 됩니다.

애플워치 계단 기록을 정확하게 하려면?

손을 흔들면서 자연스럽게 걸어야 합니다.
엘리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는 기록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걸어서 이동해야 합니다.
날씨 변화나 실내 공기 흐름(기압 변화)이 영향을 줄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결론 ✍️

애플워치는 기압을 기반으로 층수를 측정하기 때문에 아파트 층고 차이, 기압 변화, 움직임 패턴 등에 따라 예상보다 적게 표시될 수 있습니다.
그래도 꾸준히 계단을 오르는 습관을 들이면 운동에도 좋고, 기록이 쌓이면서 동기부여가 될 수 있겠죠! 😆

혹시 애플워치 층수 기록이 예상과 다르게 나온 경험이 있으신가요? 📱
댓글로 경험을 공유해 주세요! ✨